공모주 첫날 가격변동폭 확대 1년 '따따블 5곳'..."긍정적, 추가 확대 고려해 볼만"

공모주 첫날 가격변동폭 확대 1년 '따따블 5곳'...

한국거래소 황소상.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 공모주들의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이 확대된 지 1년이 지났다. 지난 1년간 기업 약 80곳이 신규 상장한 가운데 따따블(공모가 대비 4배 상승)을 기록한 곳은 5곳에 그쳤다.

업계는 공모주의 가격제한폭 확대가 수급 지연을 막아주고 적정 가격을 찾아 주는 등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가격제한폭의 추가적인 확대도 검토해 볼만하다는 의견이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IPO 상장 첫날 따따블을 기록한 기업은 케이엔에스, LS머트리얼즈, DS단석, 우진엔텍, 현대힘스 총 5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26일 한국거래소는 코스피·코스닥 시장 신규 상장 기업의 공모가를 기준가격으로 정한 뒤 가격제한폭을 60~400%로 확대하는 내용의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을 개정했다. 시행 이전에는 상승제한폭이 260%였다.

당시 조치는 금융위원회의 '허수성 청약 방지 등 IPO 시장 건전성 제고방안'의 후속 조치로 가격 제한폭을 넓힘으로써 적정가격을 찾도록 하려는 취지로 시행됐다. 이에 지난해 6월 29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시큐센부터 해당 세칙이 적용됐다.

이후 지난 1년간 80여개 기업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했는데 겨우 5개 기업만이 상장 첫날 따따블을 기록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5곳 모두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에 상장했다.

업계는 공통적으로 지난해 금융당국의 가격제한폭 확대와 지난 1년간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격제한폭 확대 자체는 결국 제한을 풀어준 것일 뿐 꼭 (주가를) 올려야 된다는 의도로 한 건 아니기 때문에 시장의 자율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1년간 따따블에 성공한 기업들도 단순히 가격제한폭을 늘려서 성공했다기보다는 당시에 시장이 받쳐줬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다"라며 "결과적으로 1년간 5곳만 성공했다는 점을 보면 따따블이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 시장에는 상한가가 없듯이 결국 가격은 시장이 조절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제한폭을 더욱 확대해도 문제는 없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주가가 며칠 걸려서 오를 기업에 그 기간만 줄여준 것이다"라며 "오히려 가격제한선이 낮다면 일찍이 상한가에 걸려 수급이 지연돼 주가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차라리 변동성을 늘려놓고 시장에서 적정 가격을 찾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고 이러한 관점에서 가격제한폭을 확대한 것은 긍정적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공모주의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을 확대한 것이 오히려 단타와 같은 거래를 부추긴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가격제한폭을 늘린 것이 단기적으로는 단타 매매 증가에 영향을 끼쳤을 수는 있지만, 결국 가격이 시장에서 자리를 찾아가는 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다 보면 투자자들의 투기적인 거래도 줄어들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년간 따따블을 기록한 기업 5곳 중 LS머트리얼즈와 우진엔텍은 현재도 공모가 따따블에 준하는 주가를 기록 중이다. 특히 우진엔텍의 경우 원자력 관련 기대감으로 공모가의 7배 수준까지 올랐다. 반면, 케이엔에스와 DS단석의 주가는 현재 공모가 대비 따블에도 못 미치고 있다.

OTHER NEWS

59 minutes ago

갤럭시워치7, 워치 울트라, 버즈3 공식 사진 유출

59 minutes ago

‘팝의 전설’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000억원 빚더미

59 minutes ago

동시간대 맞붙은 나영석 vs 김태호 ‘서진이네2’ 첫 승기 잡았다

59 minutes ago

“오늘밤 밖에 돌아다니지 마세요”…수도권 돌풍 몰아치고 물폭탄 덮친다

59 minutes ago

Naver, Nvidia discuss 'sovereign AI'

1 hour ago

야구 안 끝나네... ‘3회 10득점-타자일순’ 키움, 1위 KIA에 ‘17득점’ 하고 이겼다

1 hour ago

한입만 먹어도 당충전 되지만 알바생들은 고생할 것 같은 ‘메가커피’ 역대급 신메뉴

1 hour ago

‘금메달 5개’ 내건 한국, 일본은 ‘금메달 20개’ 외쳐

1 hour ago

장미꽃 든 박보영

1 hour ago

방통위 기습 의결에 MBC 구성원들 “김홍일, 결국 제2의 이동관”

1 hour ago

폭우로 우천중단되며 방수포가 깔리는 수원 KT위즈파크

1 hour ago

“일본 여행 갈까?” 정부,日 여행경보 해제…언제부터?

1 hour ago

제주공항 항공기 운항 차질…30편 결항·62편 이상 지연

1 hour ago

질문하지 않는 지방의원들, 그리고 지역언론

1 hour ago

"보험금 타기 쉽네" 서류 조작하는 '간호조무사들'[보온병]

1 hour ago

'취약시간' 휴일 밤 전국에 '시간당 30~50㎜' 집중호우

1 hour ago

'노진혁 9번+3루수 선발출격' 비에 젖은 사직, 대형 방수포에 송풍기까지 총동원…김태형-김경문 사제대결 2차전 열릴까 [부산현장]

1 hour ago

서정희, 방송서 서세원 언급하며 한말…“죽기 전에 한번이라도 만났었으면” 트라우마 호소

1 hour ago

"포퓰리즘·미중 갈등이 장기 금리상승 요인"

1 hour ago

바이든 '토론 폭망' 후폭풍…'대선후보 사퇴 후 시나리오' 확산

1 hour ago

진주-사천 행정통합 '동상이몽'…"경제·생활통합 우선" 지적

1 hour ago

“윤 대통령, '이상민 경질' 보고서에 격노” 주장에... 반박 들어왔다

1 hour ago

“땅 쪼개 팔지 말라니까!” 기획부동산 저승사자 토허제 또 나왔다 [부동산360]

1 hour ago

“우리 동네에도 60층 아파트가?”...노원구 스카이라인 바뀐다

1 hour ago

12세 삼둥이, 185㎝ 父 송일국 따라잡겠네‥아가에서 장정된 폭풍 성장(유퀴즈)

1 hour ago

'기준금리 인하 압박?' 국고채 금리, 일제히 하향... 미국 금리는 '단단'

1 hour ago

공식 장타 1위는 방신실, 전체 티샷 평균 1위는 윤이나..왜 다를까[골프인앤아웃]

1 hour ago

[코인 리포트] 알트코인 현물 ETF 시대 개막?…솔라나, ETF 신청에 7% 급등

1 hour ago

'호날두 1골 1도움' 서울, 전북 징크스마저 깼다…3연승 질주(종합)

2 hrs ago

브루나이 국왕, 伊 베를루스코니 사르데냐섬 별장 '눈독'

2 hrs ago

비바람에 제주선 항공기 결항, 부산에선 야구 경기 취소

2 hrs ago

‘부자(父子)가 함께 코트에?’ 르브론, 아들 브로니 레이커스행 경사

2 hrs ago

고물가에 "국내여행도 사치"…'집에 있겠다' 직장인 속출

2 hrs ago

한국외대, 송도캠퍼스 2단계 건립 '첫삽'

2 hrs ago

‘1승5패 농심’ 박승진 “선수들, 기피 챔프 연습해야”

2 hrs ago

이승엽 감독 ‘그라운드를 보세요’ [MK포토]

2 hrs ago

T1 '페이커' 이상혁,'승리 다짐'

2 hrs ago

세계에 퍼진 BTS 지민의 세레나데..108개 국가·지역 아이튠즈 '톱 송' 1위

2 hrs ago

“현대차그룹도 2년 걸렸는데…”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샤오미가 전한 뜻밖의 소식

2 hrs ago

박철, 알고보니 배우 조성하와 사촌지간 “우리 외사촌 형”(가보자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