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애플 너무 잘나가니…잦아지는 `AI 거품론`

테슬라 주가전망 '15달러' 경고까지

엔비디아·애플 너무 잘나가니…잦아지는 `ai 거품론`

엔비디아·애플 너무 잘나가니…잦아지는 `AI 거품론`

지난해부터 시작된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엔비디아와 애플 등 대형 기술주들의 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지만, 과거 닷컴 버블과 비교하며 AI 주들이 이끈 뉴욕증시 상승세에 대한 '거품 경고'도 잦아지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1~3위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엔비디아로 나타났다. 3개 기업의 시가총액은 3조2000억~3조3000억달러 수준으로, 현재까지 시총 3조달러를 넘긴 곳은 이들 뿐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2022년 말 '챗GPT' 등장 이후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AI 투자를 확대하며 AI붐에 합류했고, 경쟁에서 뒤쳐졌다는 평가를 받던 애플은 최근 AI기능을 탑재한 '애플 인텔리전스'를 발표하며 주가를 높였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에만 170% 이상 올랐고,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도 같은 기간 각각 20.90%, 16.72% 올랐다.

이런 AI주의 주가 상승이 1년 반 이상 이어지면서 '거품론' 경고도 잦아지고 있다. AI붐이 둔화하고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영국 가디언의 칼럼니스트 존 노튼은 투자 거품이 변위부터 붐, 행복감, 이익실현, 패닉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챗GPT가 등장한 2022년 11월 세상이 술렁였던 것을 변위 시점으로 잡았다. 그는 이를 지난 닷컴버블 이전 1993년 최초의 웹 브라우저 '모자이크' 등장에 빗댔다. 모자이크 개발사 넷스케이프는 1995년 기업공개에 나섰고, 주가가 폭등했다.

두 번째 단계인 붐은 대부분의 기술 회사들이 AI에 집중했던 시기로 꼽았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투자한 뒤 구글은 준비가 덜 된 바드챗봇을 출시했다. 엔비디아는 이 시기에 대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지금을 '행복감' 단계라고 평가했다. 존 노튼은 기업들이 AI에 막대한 돈을 투입하며 도박을 하고 있다고 봤다. 대형 기업들은 앞다퉈 AI 관련 회사에 '묻지마 투자'를 하고 있고 전 세계가 AI 환상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환상이 결국 AI 열풍을 이익실현과 패닉 단계로 이끌 것이라 분석했다. AI 관련 하드웨어를 만드는 기업을 제외하면 아직 AI로 돈을 버는 기업이 없어 투자자들이 생성형 AI가 돈을 쓰는 데는 탁월하지만 투자 수익 창출이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고 거품이 터지기 전 이탈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후 '탈출 행렬'이 확대되면서 거품에 구멍이 생기고, 급속한 하락 곡선이 시작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마켓워치 역시 현재 미국시장이 AI붐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캐피탈 이코노믹 그룹의 네일 시어링 수석 분석가는 "AI 열풍에서 촉발된 거품이 부풀어올라 미국 주식시장에 불균형적으로 이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앞으로 18개월 동안 미국 주식이 세계 나머지 지역 주식보다 계속해서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결국 AI 거품이 터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AI 관련주 외 다른 대형 종목들에 대한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약세를 보이고 있는 테슬라에 대한 경고음이 커졌다. 헤지펀드 매니저 퍼 르캔더는 테슬라 주가가 14달러까지 빠지고 기업 자체가 파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의 헤지펀드인 클린에너지트랜지션도 테슬라의 목표주가를 15달러로 제시했다.

페르 레칸더 클린에너지트래지션 최고경영자는 "테슬라는 역사에 남을 거대한 버블"이라며 "전기차 판매를 중심으로 한 테슬라의 사업 모델은 전통적 사업에 가깝고 테슬라의 순이익은 감소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남석기자 [email protected]

OTHER NEWS

46 minutes ago

얼마나 동안이면...67세인데 10대 연기 맡은 스타

46 minutes ago

냉면 먹고 싶다 했는데 다음날 사망...안타까운 소식 전해졌다

59 minutes ago

리사, ‘록스타’ MV 티저로 뽐낸 ‘독보적 아우라’

59 minutes ago

만능스타 이찬원, KBS‧SBS도 알아본 '신규 예능 다크호스'

59 minutes ago

위클리, 신보 '블리스' 트랙리스트 공개…타이틀곡은 '라이츠 온'

60 minutes ago

장마 필수 아이템, 벤시몽 레인부츠

60 minutes ago

[포토]문성현, 또 밀어내기 실점

60 minutes ago

부산 신항 송도섬 제거, 축구장 면적 38배 항만부지 조성

60 minutes ago

운전면허적성검사 등 디지털서비스 26종 추가 개방

60 minutes ago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60 minutes ago

현대차 노조, 내달 6일부터 특근 거부…사측과 교섭은 재개

60 minutes ago

초대형 공원을 앞마당처럼 `위파크 일곡공원` 10년 민간임대 6월 28일 본격공급

1 hour ago

SOOP, ‘e스포츠 월드컵’ 한국어 생중계

1 hour ago

성실했던 공무원이 어쩌다…“로봇 주무관, 계단서 뛰어내려 파손”

1 hour ago

이중도루 성공하는 LG

1 hour ago

‘화성 화재’ 언급한 배터리 세계 1위 中기업 회장…“가격 아닌 안전 경쟁”

1 hour ago

생숙 사태, 소송만 난무…“규제 완화 말곤 답 없다”

1 hour ago

여름 날씨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바베큐 맛집 BEST5

1 hour ago

“상상 이상이네”… KBO 대체 외인 ‘합격점’

1 hour ago

KBS 퇴사한 전현무·조우종, 깜짝 복귀 소식 전했다

1 hour ago

"너무 멋졌다"…식당서 아이 잠들자 男 10명이 한 행동 [영상]

1 hour ago

[스경X이슈] 명품 투수전 끝에 돌아온 것은 쓰라린 패배···‘5연승 징크스’에 또 발목잡힌 삼성

1 hour ago

대한항공 11위·아시아나 37위...英 평가기관 선정

1 hour ago

이영지 “‘스몰 걸’ 도경수 뽀뽀신, 애드리브 NO…죄스럽다” (채널십오야)

1 hour ago

우크라 전장 지배하는 M2 브래들리...최전선의 소모품으로 전락한 러시아 기갑차량

1 hour ago

킹달러 고착화 되나…역대급 '바이 코리아' 중인 외국인은

1 hour ago

‘폐암’도 중입자치료 시작

1 hour ago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 답변하는 조규홍 장관

1 hour ago

전공의 선처하면 ‘형평성’ 논란…정부의 행정처분 딜레마

1 hour ago

中 "美 군용기가 남중국해에 투하한 '잠수함 탐지기' 수거"

1 hour ago

일본 엔화 달러당 160.39엔까지 하락… 38년 만에 최저 수준

1 hour ago

굳은 표정의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1 hour ago

IPO 앞두고...케이·토스뱅크 혜택 줄이네?

1 hour ago

강한 전선 예상되는 2024 장마기간, 대비 시작됐다

1 hour ago

콜마홀딩스, 뷰티업계 최초 자사주 소각…200억원 규모

1 hour ago

[단독] 월급 1500만원에 집 주고 의대교수 보장…'파격 지원'

2 hrs ago

[스경X이슈] 올해만 벌써 4번째, 또 ‘6연승’ 문턱서 좌절한 삼성···이번에는 연패를 피할 수 있을까

2 hrs ago

대한항공, 공항 혼잡도 줄이는 '온라인 체크인' 이벤트

2 hrs ago

[르포]도마위 'GTX 변전소' 헤어드라이기보다 전자파 낮다고요?

2 hrs ago

위메이드 '위믹스' 급등…반감기 도입·물량 소각 소식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