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전문가가 밤양갱 작사가를 칭찬한 이유

기자도 맞춤법 관련 일을 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맞춤법이 어렵다'라는 말을 종종 듣는다. 심지어 없애면 안 되냐는 과격한 제안 아닌 제안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면 기자는 이렇게 되묻는다. 왜 한국어에만 맞춤법이 있을까요? 영어에는 왜 맞춤법이 없을까요? 그 이유를 설명해주면 그제야 '아하!' 외마디 감탄사를 쏟아낸다.

맞춤법은 반강제적인 규범이기도 하지만 보편적 원리나 규칙 중심의 문법이 바탕이다. 따라서 이런 규칙적인 규범이 가능한 것은 한국어와 한글이 다른 언어와 달리 그런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함께 나누고 있는

의 저자 진정씨를 11일 세종국어문화원 사무실에서 만나봤다.

맞춤법 지키는 노력은 배려하는 마음

맞춤법 전문가가 밤양갱 작사가를 칭찬한 이유

맞춤법 м „л¬ёк°Ђк°Ђ л°¤м–‘к°± 작사가를 м№­м°¬н•њ мќґмњ

 

-  제목이 참 쉽네요. 맞춤법이 진정 쉽나요?

"'맞춤법이 쉽다니' 아마도 이 책 이름을 도발적이라고 생각하실 분들도 계실 듯합니다. 맞춤법에 맞게 쓰는 것을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이겠지요. 이 책은 이렇듯 맞춤법에 맞는 표기를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든 책입니다.

저는 맞춤법에 맞게 쓰는 일은 내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읽는 이를 배려하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즉, 상대와 소통하려는 마음을 담는 것이지요. 이러한 마음가짐을 지닌 분들이라면 정확한 표기를 하려고 노력하실 텐데요. 그런 분들이라면 맞춤법에 맞게 쓰는 일도 어렵지 않게, 쉽게 해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이 책에서도 쉽게 도움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맞춤법을 쉽게 만드는 무슨 원리나 규칙에 대한 설명을 들을 줄 알았는데, 저자는 의외로 배려와 소통을 강조했다. 하긴 맞춤법이 어렵다는 분들이 실제로 어려워서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일단 우리말이라는 이유로 맞춤법 공부를 안 해서 그런 경우도 많을 것이다. 배려와 소통에 관심이 많다면 자연스럽게 그 수많은 맞춤법 관련 책 가운데 한 권 정도는 읽는 열정이 생길 것이다.

 

- 많은 맞춤법 관련 책이 있습니다. 이 책만의 특색이 있을까요?

"일상어를 많이 담았다는 것이에요. 한글 맞춤법 규정에 나와 있는 예시들이 아니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메신저 대화방에서, 안내문 등에서 사례를 수집했습니다. 요즘 우리는 많은 소통을 문자로 해요. 예전보다 구어가 아닌 문어로 소통하는 일이 훨씬 많아졌습니다.

약속을 잡을 때에도 전화보다는 메신저를 활용하고 인터넷상에서 문어로 여러 사회문제들을 토론하기도 하지요. 심지어 전화 강박증(포비아)라는 증상까지 생길 정도로 구어보다는 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상이에요.

전체 내용보기

OTHER NEWS

46 minutes ago

얼마나 동안이면...67세인데 10대 연기 맡은 스타

46 minutes ago

냉면 먹고 싶다 했는데 다음날 사망...안타까운 소식 전해졌다

59 minutes ago

리사, ‘록스타’ MV 티저로 뽐낸 ‘독보적 아우라’

59 minutes ago

만능스타 이찬원, KBS‧SBS도 알아본 '신규 예능 다크호스'

59 minutes ago

위클리, 신보 '블리스' 트랙리스트 공개…타이틀곡은 '라이츠 온'

60 minutes ago

장마 필수 아이템, 벤시몽 레인부츠

60 minutes ago

[포토]문성현, 또 밀어내기 실점

60 minutes ago

부산 신항 송도섬 제거, 축구장 면적 38배 항만부지 조성

60 minutes ago

운전면허적성검사 등 디지털서비스 26종 추가 개방

60 minutes ago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1 hour ago

현대차 노조, 내달 6일부터 특근 거부…사측과 교섭은 재개

1 hour ago

초대형 공원을 앞마당처럼 `위파크 일곡공원` 10년 민간임대 6월 28일 본격공급

1 hour ago

SOOP, ‘e스포츠 월드컵’ 한국어 생중계

1 hour ago

성실했던 공무원이 어쩌다…“로봇 주무관, 계단서 뛰어내려 파손”

1 hour ago

이중도루 성공하는 LG

1 hour ago

‘화성 화재’ 언급한 배터리 세계 1위 中기업 회장…“가격 아닌 안전 경쟁”

1 hour ago

생숙 사태, 소송만 난무…“규제 완화 말곤 답 없다”

1 hour ago

여름 날씨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바베큐 맛집 BEST5

1 hour ago

“상상 이상이네”… KBO 대체 외인 ‘합격점’

1 hour ago

KBS 퇴사한 전현무·조우종, 깜짝 복귀 소식 전했다

1 hour ago

"너무 멋졌다"…식당서 아이 잠들자 男 10명이 한 행동 [영상]

1 hour ago

[스경X이슈] 명품 투수전 끝에 돌아온 것은 쓰라린 패배···‘5연승 징크스’에 또 발목잡힌 삼성

1 hour ago

대한항공 11위·아시아나 37위...英 평가기관 선정

1 hour ago

이영지 “‘스몰 걸’ 도경수 뽀뽀신, 애드리브 NO…죄스럽다” (채널십오야)

1 hour ago

우크라 전장 지배하는 M2 브래들리...최전선의 소모품으로 전락한 러시아 기갑차량

1 hour ago

킹달러 고착화 되나…역대급 '바이 코리아' 중인 외국인은

1 hour ago

‘폐암’도 중입자치료 시작

1 hour ago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 답변하는 조규홍 장관

1 hour ago

전공의 선처하면 ‘형평성’ 논란…정부의 행정처분 딜레마

1 hour ago

中 "美 군용기가 남중국해에 투하한 '잠수함 탐지기' 수거"

1 hour ago

일본 엔화 달러당 160.39엔까지 하락… 38년 만에 최저 수준

1 hour ago

굳은 표정의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1 hour ago

IPO 앞두고...케이·토스뱅크 혜택 줄이네?

1 hour ago

강한 전선 예상되는 2024 장마기간, 대비 시작됐다

1 hour ago

콜마홀딩스, 뷰티업계 최초 자사주 소각…200억원 규모

1 hour ago

[단독] 월급 1500만원에 집 주고 의대교수 보장…'파격 지원'

2 hrs ago

[스경X이슈] 올해만 벌써 4번째, 또 ‘6연승’ 문턱서 좌절한 삼성···이번에는 연패를 피할 수 있을까

2 hrs ago

대한항공, 공항 혼잡도 줄이는 '온라인 체크인' 이벤트

2 hrs ago

[르포]도마위 'GTX 변전소' 헤어드라이기보다 전자파 낮다고요?

2 hrs ago

위메이드 '위믹스' 급등…반감기 도입·물량 소각 소식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