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미복귀] 장기간 의료공백 사태에 환자들 '각자도생'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법원이 지난 16일 의사와 의대생들이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에 대해 집행정지를 신청한 것을 기각·각하시키며 의료대란이 수습되는 줄 알았으나, 일선 의료현장에 전공의 등이 복귀하지 않고 있다.

환자들은 이러한 장기간 의료공백 사태가 3개월 째 지속됨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중증질환자들은 진료가 지연되는 등의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환자 보호자는 "그저 각자도생할 뿐"이라고 말했다.

[전공의 미복귀] 장기간 의료공백 사태에 환자들 '각자도생'

[서울=뉴스핌]백인혁 기자

법원 결정이 나온 이후 지난 21일까지 전국 100개 주요 병원에 복귀한 전공의는 600여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전공의 1만 3000여명 중 5%에 불과한 숫자다. 서울지역 한 대형병원의 관계자는 "복귀 전공의 숫자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23일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미복귀로 인해 중증질환자 진료 차질을 묻는 질문에 "현재 있는 인력으로 병원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진료 등이) 연기된 게 없다"고 답했다. 지난 2월 이후 병원마다 신규 환자를 받지 않고 있어서 줄어든 인력에 맞게 병상이 가동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환자들이 의료공백 3개월 동안 어느정도 적응한 상황"이라며 "기존에 빅5 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을 찾았던 환자들이 각자 알아서 전국의 병원에 흩어져 치료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 대표는 "요즘 환자들 측에서 오는 민원도 크게 줄어든 이유가,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더 이상 무언가를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는 것을 서로 알기 때문"이라며 "지난 4월 8일 이후로는 환자 피해사례 조사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의료공백사태 이전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던 백혈병 환자 보호자 A씨는 안 대표에게 "각자도생해야지 이제 누굴 믿겠느냐"며 "상황에 적응해서 다른 병원으로 옮겨 치료받고 있다"고 전했다.

안 대표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어쨌든 전체적으로 볼 때 의료인력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어디선가 피해가 발생하고는 있다. 오해가 안 생겼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암환자 60% 가까이 '항암·외래 지연' 등 피해 호소

장기간 의료공백 사태가 '뉴노멀'이 됐다고 해서 환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협의회)는 지난 4월 24일부터 28일까지 5일간 18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현장에서의 피해사례를 조사했다. 결과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60% 정도가 의료공백 사태로 피해를 입고 있었고, 특히 신규 환자들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협의회는 지난 7일 보도자료에서 "신규환자들을 진료거부한 것은 겉으로는 진료의 혼란을 막는데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암환자들은 공포의 5월을 보내고 있다. 암은 계속 판정되고 있는데 항암, 외래 지연을 흔한 일이 됐고 정신적 충격에 쌓인 '신규환자'는 진료자체가 거부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상진료를 받은 환자는 10명 중 3~4명 수준에 불과했다. 피해 집계를 보면 외래 지연 34명, 항암 1주 지연 11명, 항암 2주 지연 11명을 포함해 기존 입원 항암이 아닌 가방항암(가방을 싸고 다니며 직접 관리)을 변경된 경우도 22명이나 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초 암 진단 후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지 못했다는 7건의 사례를 포함해 신규환자 진료 거부는 총 22건이었다. 이는 다양한 암종 중 췌장암 환자만을 분석한 결과다.

협의회는 보도자료에서 "의료대란 상황에서도 암 발생은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신규환자가 갈 곳은 제한적"이라며 "환자들 사이에 공유하는 정보가 없다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기형적 구조가 됐다"고 설명했다.

협의회 관계자는 "7일 발표 이후로도 피해 사례를 취합 중"이라며 추가적인 피해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OTHER NEWS

42 minutes ago

[STN포토]김수지, 오늘 타수를 줄여갑니다

42 minutes ago

2년 전 그곳에서.. U-20 女핸드볼, 세계여자주니어선수권 위해 북마케도니아로

42 minutes ago

신용회복 지원조치로 개인 266만 명 '신용평점 31점' 올라

42 minutes ago

[유로2024X스타] 자국 리그에선 ‘손가락질’ 받지만 대표팀에선 다르다! 스페인 캡틴 모라타, ‘선제 결승골’로 유로 역대 득점 3위 등극!

42 minutes ago

르세라핌 ‘위버스콘 페스티벌’서 히트곡 퍼레이드

42 minutes ago

비만치료제 다음 타깃은 ‘안티에이징’…고령화시대 투자 정조준 [투자360]

55 minutes ago

2018년 악몽 넘어설까…"올여름 40도 넘는 폭염 아니면 폭우"

55 minutes ago

기체결함에 11시간 지연 출발한 티웨이항공, 국토부 점검받나

55 minutes ago

日아사히 "니가타현, 36년전 '조선인 사도 강제노동' 인정"

1 hour ago

이상민, 69억 빚 다 갚고 돈 펑펑 쓰네 “요즘 취미=위스키”(아형)

1 hour ago

엄마, 암투병 와중에...아무것도 모르고 춤춘 6살 꼬마왕자님

1 hour ago

‘중산층 집한채’ 상속세 부담 줄인다…과표·공제·세율 손질 검토

1 hour ago

[포토] 한화 '연패'

1 hour ago

“이것이 미래의 디스플레이”…잡아당겨도 고화질 유지하는 시대 성큼

1 hour ago

한국투자증권 베트남법인, ‘주식경매-자금조달’ 대회 개최

1 hour ago

“日, 원자로 증설 허용 방침”… ‘원전 의존 감소’ 기조와 배치

1 hour ago

한국인 UFC 7호 파이터 남의철 종합격투기 복귀

1 hour ago

경주시보건소, 첫 SFTS 환자발생에 기관합동 대응 펼쳐

1 hour ago

에어부산, 中 선박 기업과 항공·선박 연계 상품개발 맞손

1 hour ago

폭증했던 일학개미 3월 정점 찍고 소강, 왜? [투자360]

1 hour ago

극심한 불황에 상가 경매 응찰자 0명… 부동산 경매 법원 가보니

1 hour ago

ISA도 해외투자 쏠림…해외·국내 ETF 비중 첫 역전

1 hour ago

한화생명금융서비스, GA업계 최초 500억 규모 해외채권 발행 성공

1 hour ago

수출입銀,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 첫 해외수출

1 hour ago

부산 온종합병원 "과도한 저염식, 저나트륨증 유발" 주의

1 hour ago

지난해 정시 합격점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순으로 높아

1 hour ago

바다를 품은 섬과 액티비티가 함께하는 통영 맛집 BEST5

1 hour ago

이재명 "싸워서 이기는 것은 하책"이라며 정부에 요청한 것

1 hour ago

'명물' 대전 성심당 지하철역 방 빼나… 6차 공모도 유찰

1 hour ago

바보야, 문제는 수비야… KIA가 아직 최강팀 아닌 이유, 이런 수비로는 왕좌 못 간다

1 hour ago

'성 관련 영화 상영' 중학 교사…항소심도 "징계 정당"

1 hour ago

"쉽게 150km 던져, 금방 좋아지겠던데?" 적장도 극찬…'최고 155km' 장점 살려본다, 이민석 불펜 보직 전환 [MD잠실]

1 hour ago

23초 만에 ‘카테나치오’가 무너지다니…진땀 흘린 이탈리아, 돈나룸마는 이미 경고했다 “알바니아는 가장 큰 바나나 껍질” [유로2024]

1 hour ago

현대차 때문에 인도 증시 난리났다…4조원 넘게 지분매각, 사상최대 IPO 추진

1 hour ago

"산업은행 자본금 60조로 늘려달라"[위클리금융]

1 hour ago

윤동희 포효

1 hour ago

드디어 '옥천여신' 미주 친언니 최초공개..딘딘, 사심 '플러팅' 폭발 [어저께TV]

1 hour ago

이태원 참사 분향소, 서울광장 떠난다…15일부터 1박2일 추모제

1 hour ago

10년째 새롭다…정한X원우 입증할 ‘무한 성장 세븐틴’

1 hour ago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전면 폐지, 상속세는 30% 수준까지 내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