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밤이었다" "비참했다"…美·英 유력 언론들, 바이든 토론 혹평

첫 TV대선토론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2024.06.27. ⓒ 로이터=뉴스1 ⓒ News1 이종덕 기자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27일(현지시간) 치러진 미국 2024 TV 대선 토론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성적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 주요 매체들은 '고군분투했다(struggle)' '깨졌다(crash)' '빈약한 모습을 보였다(poor showing)' '비틀거렸다(stumble)' 등의 표현을 헤드라인에 쓰면서 바이든의 패배를 노골적으로 표현했다.

우선 뉴욕타임스(NYT)는 '토론에서 트럼프가 고함치고 바이든은 힘겹게 싸웠다(struggle)'고 표현했다. 더듬거리는 토론에 민주당이 당황했다'(A Fumbling Performance, and a Panicking Party)는 제목의 기사에서는 민주당의 최고 지도자들은 대선 후보 교체를 이야기할 정도로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연설에서 흔들리고 멈칫거렸다고 평가했다.

바이든을 공개적으로 강력하게 지지해 온 한 베테랑 민주당 전략가는 "바이든은 물러나라는 요구가 쇄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는 민주당 당원들 사이에서 깊은 애정의 우물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은 말라 버렸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고군분투했다' '허우적거리다' 등에 해당하는 단어 '스트러글'(struggle)로 바이든의 토론을 요약했다. 거친 목소리로 연설했으며 반복적으로 말을 잃고 횡설수설하거나 생각의 흐름을 잃은 것처럼 보였다고 평가했다. 한 민주당 의원은 토론을 본 후 많은 하원 민주당 의원들이 "바이든이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고 발표해야 한다"는 내용의 개인 문자를 서로에게 보냈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가 허위 사실을 퍼뜨리는 동안 바이든은 불타는 논쟁에서 비틀거렸다'고 평가했다. WP는 얇은(thin) 목소리, 중얼거리는 말투, 때때로 혼란스러워 보이는 표정으로 트럼프의 주장을 반박했다고 이번 토론을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과 트럼프의 첫 번째 충돌에서 바이든이 깨졌다(crash)'고 표현했다. 트럼프는 대부분 평정을 유지했는데 바이든은 불안정해 보였다면서 다른 매체들과 거의 유사한 평가를 했다. WSJ은 "둘 다 나이가 많지만 한 명이 더 늙어 보였다"면서 특히 메디케어(건강정책)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바이든이 생각의 흐름을 잃은 것처럼 보였다고 전했다.

CNN은 '바이든의 빈약한 모습(poor showing)과 트럼프의 반복되는 거짓말'을 뉴스 라이브의 제목으로 잡았다. 하지만 CNN에 따르면 바이든은 기자들에게 자신이 잘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퇴하라는 요구와 토론 성적에 대한 우려가 있냐고 기자들이 묻자, 바이든은 "없다"면서 "거짓말쟁이와 토론하기는 어렵다"며 트럼프를 비난했다.

영국 가디언은 '이 토론은 바이든에게 비참한 개막 공연이었다'는 비참한 제목을 달았다. "때때로 목소리가 들리지 않고, 종종 주제를 벗어나고, 문장 중간에 할당된 시간을 다 써버리는 등 일관성 없는 발언을 쏟아내 시청자들에게 메시지가 불분명하거나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게 했다"고 혹평했다.

반면 트럼프에 대해서는 "성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두 차례 탄핵을 당했으며, 지난 대선에서 패배하자 이를 뒤집으려 했던 중범죄자"라면서도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하면서도 강력하고, 경각심이 있고, 메시지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미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민주당이 바이든 대통령의 '허덕댄(faltering)' 토론에 충격을 받고 한때는 입에 담을 수 없었던 그의 교체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민주당의 한 주요 기부자이자 바이든 지지자는 대통령이 캠페인을 그만둘 때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토론의 밤에 바이든이 "역사상 최악의 토론 모습"을 보였다면서 "트럼프의 거짓말에 아무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정도로 나빴다"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임신만 2번 했는데 더 고민?" 비난에…허웅 "결혼하려 했다"

▶ "동생 손흥민 믿고 춘천서 깝친다"…손흥윤 목격담 '시끌'

▶ "키스마크는 내 잘못"…이해인, 성추행 피해 남성과 나눈 대화

OTHER NEWS

2 hrs ago

[mhn포토] 고지우, 하늘이 심상치 않다

2 hrs ago

"푸틴, 히틀러와 같은 난관…이르면 내년말 무기 동날듯"

2 hrs ago

이수지 “맛있는 녀석들, 잘리니까 살 빠지더라” (맛녀석)

2 hrs ago

“이 운동으로 15kg 뺐다”…솔비 S라인 비결, 알고 봤더니

2 hrs ago

홍준표 시장, 민선 8기 2년 대구 대혁신...“잘했다” 60% 돌파

2 hrs ago

펩 과르디올라 감독님 이것 좀 보세요!...'유로 탈락' 1억 파운드 슈퍼스타 비주얼 쇼크 화제

2 hrs ago

하천고립, 도로침수, 나무 쓰러짐…경기북부 물폭탄 피해

2 hrs ago

[STN포토]스트레칭하는 박현경

2 hrs ago

유럽 강타한 폭풍우… 프랑스·스위스 6명 사망·실종

2 hrs ago

스트레이키즈 현진,'패셔니스타의 손인사'

2 hrs ago

서울 성동구, 마장동서 첫 모아타운 조합설립인가

2 hrs ago

키움, 대만-중국 야구팀과 연습경기 진행

2 hrs ago

KIA 174승 대투수와 라팍은 안 맞네요…ERA 7.08, 전반기 최종 3연전 출격? 후반기 복귀? 꽃범호 고민[MD광주]

2 hrs ago

전국 흐리고 곳곳에 국지성 호우...올해 장마 언제까지?

2 hrs ago

“故이선균과 유족, 팬들에게 죄송”…허웅, 사과 메시지 올린 까닭

2 hrs ago

졸도할 해외여행 가격…8만8천원은 어디?

2 hrs ago

‘대반전!’ 토트넘, ‘2006년생’ 리즈 최고 유망주 품나?···브렌트퍼드 이적 결렬 후 토트넘행 급물살

2 hrs ago

전원회의 이틀째 ‘경제 발전 장애’ 지적한 김정은…간부들 가슴엔 김정은 초상 배지

2 hrs ago

한국 여자농구, U-18 아시아컵 4위로 마감

2 hrs ago

현대차·기아, 2분기 매출 '71조' 신기록 전망…수익성도 견조

2 hrs ago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경기 회복 이상 무”vs“경기 위험신호”

2 hrs ago

[오늘의 운세 나침반]2024년 7월 1일

2 hrs ago

"손목의 노란 손수건은 계엄군" 5·18 편의대 실체 한걸음 더

2 hrs ago

관리냐 파국이냐…푸틴 방북 이후 한·러 관계 어디로 가나

2 hrs ago

이마트24, 과자‧음류‧주류 등 5가지 상품군 ‘골라담기’ 행사

2 hrs ago

BTS 지민 솔로 2집 스메랄도 가든 마칭 밴드, 스포티파이 글로벌 4위

2 hrs ago

티몰롤 및 일반적인 부작용이란?

2 hrs ago

박서진 여동생 리즈 공개 ‘삼천포 핫걸’ 미모 깜짝 “저런 동생 없다”(살림남2)[결정적장면]

2 hrs ago

'3위' 마이크론의 도발…HBM 놓고 삼성·SK하이닉스와 '각축'

2 hrs ago

윤석열 사단의 기술…있는 돌을 다 던진다, 몇 개는 맞는다

2 hrs ago

[오늘의 운세] 6월 30일, 귀인의 도움을 받을 띠는?

2 hrs ago

[mhn포토] 이지현, 순위 끌어 올리는 티샷

2 hrs ago

'가교' 되겠다던 바이든, 팔순에 '재선 도전' 변심…굴욕 자초

2 hrs ago

오뚜기 ‘백세카레’로 한식 디저트 만들기…“요알못도 결국 완성” [해보니]

2 hrs ago

기업대출 연체율 치솟자…하나은행 '몸집보다 내실'로 방향 틀었다

2 hrs ago

정찬성, 첫 대회부터 UFC급 한국인 스타 배출

2 hrs ago

중국 스파이 의심받던 필리핀 시장, 진짜 중국인이었다

2 hrs ago

간이과세 매출기준 1억4백만원… 12월, GTX-A 운정~서울역 개통

2 hrs ago

"아프면 쉬세요" 충주시 내달부터 상병수당 사업 시행

2 hrs ago

삼성전자, 전세계 랜드마크서 '갤럭시 언팩' 디지털 옥외 광고 선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