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강제 헌납, 모바일 전격 철수… 아픔 딛고 ABC로 나는 LG[2024 재계 인맥 대탐구]

정부 강권에 1999년 반도체 포기

훗날 사사에 ‘인위적’ ‘강제’ 기록

2021년엔 적자 모바일 사업 종료

차체 빼고 다 만드는 ‘전장’ 확대

연매출 10조원 시대 캐시카우로

P2P·카메라·배터리 ‘풀 라인업’

구광모 “작은 씨앗도 꺾임 없이”

미래 먹거리 AI·바이오 등 독려

2030년 신약 5개 상용화 목표도

반도체 강제 헌납, 모바일 전격 철수… 아픔 딛고 abc로 나는 lg[2024 재계 인맥 대탐구]

서울신문

#사례1 1999년 1월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동관 30층 회장실. 청와대에서 ‘반도체 빅딜’과 관련해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면담을 하고 돌아온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낯빛이 어두웠다. 구인회 창업회장 생전인 1969년 5월 금성전자로 출발해 30년간 일군 사업체인 LG반도체를 내놓는다는 건 전자 사업이 주력인 LG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하지만 구 회장의 뜻과는 다르게 상황이 흘러갔고 결국 선친으로부터 물려받은 반도체 사업을 포기해야 했다. 강유식(76) 당시 LG구조조정본부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대승적 차원에서 LG가 보유하고 있는 LG반도체의 지분을 현대전자에 100% 양도하기로 결정했다”며 LG반도체 매각을 전격 발표했다.

대승적 차원이라고 했지만 그 아픔의 순간을 잊을 수 없었던 LG는 8년 뒤인 2007년 그룹 60년의 역사를 담은 사사에 빅딜 과정을 서술하며 당시의 억울함을 행간에 담았다. 사사에는 “인위적인 반도체 빅딜의 강제”, “한계 사업 정리, 핵심 역량 집중이라는 당초의 취지와 어긋나는 결과 초래” 등 다소 강한 표현도 등장한다. “재무구조, 기술력, 전문성 등 모든 면에서 객관적으로 LG반도체가 앞선다는 점을 들어 경영권 확보를 강력히 주장했고 구본무 회장도 이 같은 의지를 강도 높게 피력했다”는 내용에선 현대전자 중심의 빅딜에 대한 서운함이 드러났다. LG반도체를 품은 현대전자는 늘어난 차입금 등을 감당하지 못했고 채권단을 거쳐 우여곡절 끝에 SK에 인수돼 지금의 SK하이닉스가 됐다.

#사례2 2021년 4월 5일 LG트윈타워 서관 30층 이노베이션룸. 이곳에 모인 권봉석(61·㈜LG 부회장) 당시 LG전자 대표, 권영수(67·퇴직) LG전자 이사회 의장 등 7명의 이사는 적자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던 모바일 사업 종료 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1995년 LG가 모바일 사업을 시작한 지 26년 만에 철수 결정을 내린 것이다. 당시 이사회 의사록에는 “모바일 사업 종료가 회사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인 점에 대해 공감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모바일에 투입된 인력과 자본을 가전, TV,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치) 등 다른 사업으로 돌려 잘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하는 게 중장기 관점에서 이득이라고 판단한 건데 3년이 지난 지금도 LG는 “잘한 결정”이라고 본다.

반도체 매각과 모바일 철수는 70년 넘는 LG 역사의 한 획을 긋는 사건으로 당시에는 혹독한 시련을 안겼지만 더 강한 LG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됐다. ‘동동구리무’로 불린 럭키크림, 럭키치약을 만들어 팔던 조그만 회사에서 전기차 배터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첨단 제품을 만드는 그룹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대형 위기를 극복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전장서 승부… 벤츠와 협력 논의

모바일을 떼어낸 LG전자의 외형은 외려 커졌다. 매출은 모바일 사업 철수 직전 해인 2020년 63조 2620억원에서 지난해 84조 2278억원으로 3년 새 20조원 넘게 늘었다.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3조 1950억원에서 3조 5491억원으로 개선됐다. 그사이 새로운 ‘캐시카우’(현금창출원)로 키운 전장 사업은 연 매출 10조원 시대를 열며 LG전자 주력 사업 반열에 올랐다.

차체 빼고 다 만든다는 LG의 전장 사업은 계열사별로 역할이 나뉜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분야에서 20년 이상 노하우를 축적한 LG전자는 인수합병(M&A),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조명, 전기차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까지 영역을 넓혔다. 최근에는 차량에 특화된 웹(web)OS 콘텐츠 플랫폼으로 미래 자동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앞으로 자동차가 이동 수단을 넘어 ‘바퀴 달린 생활공간’으로 바뀔 것으로 보고 차 안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 플랫폼으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적용 차종도 내연기관(제네시스 GV80 등) 차에서 전기차(기아 EV3)로 확대된다.

LG디스플레이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LG이노텍의 차량용 카메라·통신·조명 모듈도 대표적인 전장 부품으로 꼽힌다. LG디스플레이는 2024년형 GV80에 차량용 27인치 OLED 패널을 공급한 데 이어 최근에는 운전석 계기판부터 조수석 앞까지 대시보드 전체를 덮는 대형 액정표시장치(LCD)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전면부 양쪽 기둥(필러)까지 디스플레이가 이어진다고 해서 ‘필러투필러’(P2P)로 불리는 이 패널은 LG디스플레이의 향후 수익원으로 꼽힌다. LG이노텍은 차량용 카메라를 포함한 전장 관련 매출을 현재 2조원대에서 5년 내 5조원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제시했다.

전기차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숨고르기를 하며 연구개발(R&D)에 힘을 쏟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배터리까지 전장 분야 ‘풀 라인업’을 확보한 LG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LG그룹의 자동차 부품 사업을 하는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진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본사를 찾아 전장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의 유력 자동차 전문지 모터트렌드는 구광모(46) LG그룹 회장을 자동차 업계의 영향력 있는 인사 10위에 선정했다.

●구광모 ‘LG의 역사는 도전의 역사’

LG가 2003년 LS그룹 계열 분리, 2005년 GS그룹 계열 분리에도 4대 그룹 위상을 유지할 수 있었던 건 전자, 통신, 화학 등 3대 핵심 사업에 집중하면서도 배터리, OLED, 전장 등 새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를 계속 해 왔기 때문이다. 배터리, OLED에 이어 전장에서도 결실을 거두기 시작하자 LG는 또 다른 미래 먹거리로 인공지능(AI), 바이오, 클린테크 등 일명 ‘ABC’ 분야를 꼽고 이에 맞춰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구 회장은 북미 출장 중 현지 직원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 LG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배터리도 30년 넘는 기술 개발과 투자가 뒷받침되고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도 끊임없는 실행을 이어 간 도전의 역사였다”며 “AI와 바이오 사업이 지금은 비록 작은 씨앗이라도 꺾임 없이 노력하고 도전해 가면 LG를 대표하는 미래 거목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LG생명과학, FDA 신약 5개 목표

AI와 바이오 사업의 중심에는 LG AI연구원과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가 있다. AI연구원은 탄탄한 연구진을 바탕으로 출범 이듬해인 2021년 초거대 AI ‘엑사원’을 선보였고, 지난해 멀티모달(언어와 이미지 양방향 생성) 모델로 진화한 ‘엑사원 2.0’을 공개했다. 계열사와 협업해 난제를 해결하는 등 AI 기술 활용도를 높이면서 ‘AI 윤리’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17년 LG화학에 흡수 합병된 LG생명과학(현 생명과학사업본부)은 “숨겨 둔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룹 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사업본부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신약(신장암 치료제·포티브다)을 보유한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를 인수하면서 미국 시장에 자체 개발 신약을 출시할 수 있는 발판도 마련해 뒀다. 지난해 연 매출 1조원을 넘긴 생명과학사업본부는 항암 분야 등에서 혁신 신약을 개발해 2030년까지 FDA 승인 신약 5개(포티브다 포함)를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OTHER NEWS

58 minutes ago

1971년 비행기 납치 사건..'하이재킹', 실화가 주는 깊은 여운

58 minutes ago

美 연준 ‘매파’ 인사 “인플레 반등하면 금리 인상해야 할 수도”

58 minutes ago

오피스텔? 예술작품?...한남동 도시 풍경 바꾼 ‘몬트레아 한남’

58 minutes ago

뉴진스, 도쿄돔 시야제한석도 열었다

58 minutes ago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느꼈을 것"…투구 패턴을 바꾸니 '언터쳐블', 고영표가 나아갈 길 [MD인천]

58 minutes ago

홍준표 "행정통합 경북 반발은 이철우 지사가 알아서 할 일"(종합)

58 minutes ago

이랜드, 광안리호텔 파나 매각가 350억 안팎 예상

1 hour ago

블루 아카이브, 스토리 전뇌신춘행진곡 업데이트

1 hour ago

SK하이닉스, 이제 3년 '실적잭팟'…SK, 역대급 'HBM 낙수효과' 온다

1 hour ago

[SNS는 지금] 트와이스 지효, 글래머지효

1 hour ago

“BMW, 벤츠도 아냐”..미국인들 홀딱 반하더니.. 현대차, 美서 또 일냈다

1 hour ago

키움證 ‘DL에너지 11-1 채권’ 발행금리 그대로 판매...“박리다매 전략”

1 hour ago

[속보] 러 "한국, 우크라에 무기 보내면 양국관계 치명적 결과"

1 hour ago

‘월드메르디앙 소사역’ 합리적인 분양가로 눈길

1 hour ago

이정재도 놀란 정우성 대리수상 “자기야 나 상받았어” 비하인드 공개 (살롱드립2)

1 hour ago

'영끌족 다시 움직이나?' ‘노도강’ 꿈틀..신규 공급예정 아파트 뭐있나

1 hour ago

'고객 뺏길라'…국민은행도 중기대출 깃발 들었다

1 hour ago

역사·문화 품은 서울 광화문광장…‘태극기’ 상징성 더해 관광 힘 싣나

1 hour ago

여의도 1.1배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수혜 기대되는 `영종 진아 레히`

1 hour ago

“더러워서 숨도 못 쉬겠네”…저가 항공사 기내 위생 논란

1 hour ago

김제덕 '파리에서도 변함없이 파이팅'

1 hour ago

50대 여수 산재 근로자, 병원 찾다 결국 경기 시흥서 다리 절단

1 hour ago

모래 절벽 생긴 경포해수욕장

1 hour ago

나경원 "당대표되면 '핵무장' 당론으로…한미간 협력"

1 hour ago

서북도서 6년 만에 해병대 포성... 北 도발과 南 대응으로 한반도 격랑

1 hour ago

러 "북러 조약, 한국 겨냥 아니다…차분히 수용하길 기대"

1 hour ago

백종원, 직접 점검했다더니…"크게 실망, 다신 안 시켜 먹어"

1 hour ago

경주 쪽샘지구 유적 '둘레돌 없는' 돌무지덧널무덤 공개

1 hour ago

“추경호 원내대표 복귀, 반대하는 사람 없었다”…與, 재신임에 무게

1 hour ago

[영상] 모래에 달걀 굽는다!…손오공 설화 '화염산' 지표온도 6월 81도

2 hrs ago

"광화문 초대형 태극기 시대착오적" vs "국기 게양도 못하나" 갑론을박

2 hrs ago

베이비몬스터, 정식데뷔 3개월만에 유튜브 구독자 600만명 돌파

2 hrs ago

‘21분 마무리’ T1, DRX 잡고 시즌 4승째

2 hrs ago

SR, 브랜딩 강화…CI·BI 통합, 유니폼 디자인 개편

2 hrs ago

국립현대미술관 멤버십 라운지 새 단장...쉼과 예술 경험 확장 위해 조성

2 hrs ago

[포토] 박민수-임현택, 국회청문회 첫 대면

2 hrs ago

부산롯데타워 "주민들과 깨끗한 광복로 만들어요"

2 hrs ago

DH 대체 선발 이지강 투입, 임찬규는 일주일 휴식... 1위와 멀어지지만 전반기 마지막까지 변칙은 없다. 염갈량의 승부는 여름이다[잠실 코멘트]

2 hrs ago

금융회사 책무구조도, 임원 없으면 직원 책임

2 hrs ago

시흥시, 7월1일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