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초대형 태극기 시대착오적" vs "국기 게양도 못하나" 갑론을박

"광화문 초대형 태극기 시대착오적" vs "국기 게양도 못하나" 갑론을박

서울시가 2026년 광화문광장에 초대형 태극기를 설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시가 2026년 광화문광장에 100m 높이의 대형 태극기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정책 타당성을 둘러싸고 시민들의 갑론을박이 뜨겁다. 이미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 등 국가적 상징물이 많은 곳에 국가 자체를 상징하는 국기까지 세우는 것은 "국가주의적"이라거나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기 게양조차 정치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과도하다"는 반론도 나온다.

"세종대왕·이순신 동상 있는데 또?"

서울시가 25일 발표한 '광화문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의 핵심은 대형 상징물을 통해 국민의 국가 자긍심을 고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극기와 함께 '영원한 애국과 불멸'을 상징하는 '꺼지지 않는 불꽃'도 설치된다.

시민 A씨는 이와 관련 26일 서울시 시민제안 게시글에서 "과거 독재정권 시절 볼 수 있었던 과도한 국가주의 상징물을 연상시킨다"며 "광화문의 다양한 역사적 기억을 억압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시민들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광장의 미래를 재고해야 한다"면서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B씨도 엑스(X)에서 "광화문 광장에는 경복궁과 세종대왕·이순신 동상 등 이미 국가상징의 요소가 많은데 대형 태극기까지 또 꽂나"라며 "외국인들이 보면 한국이 파시스트 국가인 줄 알겠다"고 꼬집었다.

김승원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이 25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관련 브리핑에서 '태극기 게양 100m 높이 대형조형물'과 '꺼지지 않는 불꽃' 설치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문가들도 비판 여론에 공감하는 편이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한국일보에 "깃발과 구호, 플래카드를 내세우는 행태는 개발도상국에서나 나올 법한 '계몽주의 행정'의 대표 사례"라며 "민간이 아니라 공공이 주도하는 국가상징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지적했다.

태극기가 그간 보수단체 집회에서 빠짐없이 등장해 왔다는 점에서 정치적 반감도 보인다. "광화문에 '태극기 부대'가 더 늘어날 것 같아 가기가 꺼려진다"는 반응이 많다. C씨는 X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두고 "보수 지지층의 결속을 노린 정치적 구상"이라며 "이런 사람이 1,000만 서울시민을 대표하고 있다니 (안타깝다)"라고 썼다.

예산 낭비라는 비판도 뒤따른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에 예산 110억 원이 투입된다고 밝혔다. D씨는 X에서 "높이 1m당 1억1,000만 원이 드는 셈인데 금칠을 하는 건가"라고 조롱했다. 직장인 안모(36)씨도 "여름철 수해에 대비해 반지하 가정을 지원한다든지 다른 시급한 과제도 많을 텐데 세금이 너무 아깝다"고 말했다.

伊 등 유명 관광지도 대형 국기 많아

이탈리아 로마 중심부의 베네치아 광장에 설치된 대형 국기. 게티이미지뱅크

반면 대형 태극기 설치를 지지하는 사람도 적잖다. E씨는 X에서 "태극기가 나쁜 것인가. 태극기를 다는 게 무슨 시대착오인지 모르겠다. 국기 게양도 사라지는 나라가 안타깝다"고 반박했다. 직장인 박모(37)씨는 "해외에 나가도 대형 국기가 설치돼 있는 곳이 많고, 그런 걸 보면 오히려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한 예로 이탈리아 로마 중심부 베네치아 광장에는 나라를 지키다 순직한 무명용사의 무덤이 있는 '조국의 제단'이 있는데, 제단 앞에는 초대형 국기 게양대가 설치돼 있다. 베네치아 광장은 로마의 대표 관광지 중 하나다. 서울시도 미국 워싱턴DC와 프랑스 파리, 아일랜드 더블린 등 도시 사례를 참고해 정책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OTHER NEWS

30 minutes ago

전문대교협 회장에 김영도

30 minutes ago

총 11척에도, 전세계서 동시 임무 수행하는 美 항모는 3~4척…미국의 고민

30 minutes ago

"호락호락하지 않은 ML, 내 힘 엄청나게 과신했다"…'충격의 10실점' 여파, 스스로를 향한 이마나가의 '채찍질'

30 minutes ago

제주항공 자회사 AK아이에스, 'ISO 14001·45001' 국제표준인증 획득

31 minutes ago

"4배 뛴다" 중국 주식 빚투 했는데 90% '뚝'…리딩방서 무슨 일이

31 minutes ago

[영상] 대낮에 뜬 거대 '서울달'…30명 태우고 130m 하늘에 '두둥실'

31 minutes ago

챗GPT에 ‘대학 시험지’ 풀게 했더니…‘경악’할만한 결과 나왔다

31 minutes ago

이제는 너마저 신고가 행진…애물단지 아파텔도 오른다[부동산360]

31 minutes ago

4경기 28실점, 참담하다 못해 충격적이다 … 심각한 KIA 불펜 이를 어쩌나

31 minutes ago

[SNS는 지금] 나나, 파격 슬렌더 비키니 몸매…‘전신타투’는 어디로?

38 minutes ago

우리금융 '변심'에...롯데손해보험, 국내 금융지주 '새 주인' 불발

38 minutes ago

에듀피디, 교육공무직 늘봄학교 교사(늘봄교무행정실무원) ‘면접+자기소개서 강좌’ 선보여

38 minutes ago

김주형 포함 한국 선수들, PGA 투어 로켓 모기지 전원 컷 탈락

38 minutes ago

[mhn포토] 윤이나, 첫 홀은 반드시 버디 잡는다

38 minutes ago

신세계, 경영전략실 경영총괄 'JP모건 출신' 제이슨 황 영입

38 minutes ago

바이오클러스터 수혜 총 3,270가구 ‘송도자이 풍경채 그라노블’, 미분양 세대 선착순 분양

38 minutes ago

롯데마트, 창고형 할인 매장 '맥스' 패밀리 행사 진행

38 minutes ago

이명박 찾아간 나경원…"이명박이 당의 뿌리"

41 minutes ago

[사진] GTX-A 구성역 개통 현장점검 나선 국토교통부

41 minutes ago

존재감을 얻기 위해 따귀를 맞는 사람들

41 minutes ago

여름철 빨래 ‘세균 99.9% 제거’ 레시피 개발한 이 회사

42 minutes ago

광역시도 휘청인다···부산, 광역시 중 처음 ‘인구 소멸위험’ 진입

42 minutes ago

이승엽 감독, '내가 한 번 쳐봐?'

42 minutes ago

강한 장맛비에 하늘길 막혔다… 제주공항 20편 넘게 결항

42 minutes ago

‘졸업’ 시그니처 사운드 OST 합본 발매

42 minutes ago

그간의 오해 풀렸을까…의협-전공의, 드디어 만났다

43 minutes ago

삼성, 언팩 앞두고 다 털렸다.. 갤럭시Z플립6·폴드6·버즈3·워치 유출 [1일IT템]

43 minutes ago

[mhn포토] 주가인, 그린에 올렸나

49 minutes ago

권순우, 윔블던 테니스 1회전서 세계 15위 루네와 격돌

49 minutes ago

이재명만 무사하면, 민주당은 행복한 것을

49 minutes ago

[美대선 TV토론] "트럼프 30번, 바이든 9번"…'팩트체크'에 걸렸다(종합)

49 minutes ago

6000㎏ 러시아 위성, 우주서 산산조각…우주인 긴급대피[핫이슈]

49 minutes ago

'3시간 천하' 쿠데타 주도 볼리비아 장성에 6개월 구금령

49 minutes ago

100타석인데도 4할 육박이라니… 신인상 경쟁 안 끝났다, 리그가 놀랄 사고 칠까

55 minutes ago

초역세권 품은 초고층 주상복합...신동아건설, '의정부역 파밀리에 Ⅱ' 견본주택 개관

55 minutes ago

전공의들 "우리 패싱마"…의협 "오해, 올특위 참관 적극 검토"(종합)

55 minutes ago

“붙어있죠? 당장 치우세요!!” 운전자들 괜히 놔뒀다가 수리비 답 없다며 오열

55 minutes ago

백현,'귀여운 미소'

55 minutes ago

[STN포토]한진선, 차분하게 티샷준비해요

1 hour ago

서울시내 주차난 해결할 '이 기술'…현대위아·HL만도 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