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피 직종 1순위 ‘개호’···‘외국인’으로 메운다

일본 기피 직종 1순위 ‘개호’···‘외국인’으로 메운다

개호 인력난에 시달리는 일본 정부는 외국인 인력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 외무성 홍보 영상 캡쳐

“Grow, Glow, Together in Japan” “Go beyond yourself in japan”

일본 정부가 자국 내 성장을 강조하며 내건 외국 인력 모집 구호다. 2019년 일본 정부는 일손이 부족한 12개 업종을 ‘특정기능’으로 지정해 해당 분야 외국인 노동자에게 최대 5년간 체류를 허용하는 특정기능 제도를 도입했다. 일본 특정기능의 핵심 업종은 개호(介護)로 개호는 “신체적 혹은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자가 목욕, 배설, 식사 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행위”를 뜻한다. 일본에서는 병든 사람을 돌보는 간병과 개호(돌봄)를 구분해서 쓴다. 개호는 식사·배설·입욕 3대 카이조(介助·시중)로 구성된다.

일본인 기피 업종 ‘개호’…외국 인력으로 대체

극심한 개호 인력난을 겪고 있는 일본 정부는 외국인 개호 노동자 모집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정기능 업종 가운데 개호 자격 시험 빈도는 월 평균 10회 이상으로 타 업종(월 2회)에 비해 높다. 일본 외무성의 특정기능 제도 홈페이지에는 개호가 최상단에 올라있다.

베트남 개호사 멍(30·가명)씨도 지난 2021년 특정기능 제도를 통해 일본에 정착했다. 자국에서 개호 업무 경력은 없었지만 간호 보조 업무를 했던 경험이 있었다.

일본어 자격 시험과 개호 영역 일본어 시험, 기능 시험 거쳐 오사카 소재 요양시설에서 일을 시작했다. 허기 받은 체류 기간 5년이지만 향후 일본 개호 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기간 제한 없이 일본에서 일할 수 있다.

멍 씨는 “베트남은 일본보다 노인이 적어서 돌봄 시장도 작다”며 “일단 당장 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이어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진입 장벽은 낮지만 노동 강도는 높다. 특히 몸이 왜소한 멍 씨에게 개호는 버거운 일이다. 노인을 안아 옮길 때가 가장 힘에 부친다.

그럼에도 그만둘 수는 없다. 멍 씨는 일본에서 유학 중인 남편을 대신해 세 식구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다. 그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적은데 몸이 정말 힘들다”며 “그래도 상대방이 매번 바뀌는 편의점이나 식당과 달리 늘 대하는 사람이 같아서 적응하기는 나쁘지 않다”고 했다.

일본 개호, 차별·갑질 없지만 노동 강도 세고 처우 낮아

멍 씨는 주 40시간 가량 일하고 25만엔(약 220만원)을 받는다. 개호 업종 지원을 위한 처우개선 수당을 포함한 금액으로 베트남 현지 급여 수준을 감안하면 낮지 않지만, 일본 내 다른 업종과 비교하면 최저 수준에 그친다.

그나마 멍 씨의 고된 노동을 지지하는 버팀목은 차별 없는 직장문화다. 기본적으로 한국과 일본, 베트남, 필리핀, 중국 등 다양한 인종이 모여 일하고 있는데, 처우나 수당 역시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균등하게 지급된다.

승진·진급도 국적과 무관하다. 근속 연수와 업무 성과에 따라 이뤄진다. 일손이 귀하다보니 개호 현장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이나 갑질도 찾아보기 어렵다.

멍 씨는 “일이 힘들 뿐이지 정서적인 부분은 문제 없다”며 “오히려 돌봄을 받는 노인들이 내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아 일본인과 정서적인 교감을 나눈다”고 했다.

일본 기피 직종 1순위 ‘개호’···‘외국인’으로 메운다

개호복지사가 일본 요양시설에서 돌봄 서비스 업무를 하고 있다. 박진혁씨(가명) 제공

이달부터 오사카 요양시설에서 개호 일을 시작한 한국인 이현아(36·가명)씨도 직장에서 차별은 느껴본 적 없다고 했다. 이 씨는 “몸이 힘들고 배변도 갈아야 하기 때문에 비위 약한 사람에게 쉽지 않은 일은 맞다”면서도 “다만 차별이나 괴롭힘이 없는 직장이어서 해볼만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일본 정부는 개호를 비롯한 향후 5년간 특정기능 수용 전망 인원을 종전 34만5000명에서 최대 82만명으로 2.4배 늘려 잡았다.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입국 문턱을 낮춰 부족한 일손을 외국 인력으로 채우겠다는 계산이다. 일본 내 개호 인력은 2025년 약 32만명, 2040년에는 약 69만명 부족할 것으로 추산된다.

특정기능 개호 인력 1년 만에 1만명 증가

특정기능 제도 도입 이후 외국인 개호 인력은 늘고 있다. 특정기능 개호 인력은 2022년 7019명에서 지난해 1월 기준 1만7066명으로 늘었다. 기존 특정활동 EPA(경제연계협정)을 통한 체류 인력(3257명), 재류자격(5339명), 기능실습(1만5011명) 수를 넘어서는 규모다.

하지만 특정기능으로 유입된 즉전력(即戦力) 외국인 개호 노동자가 일본의 만성적인 개호 인력난의 근본 대책이 될 지는 불투명하다.

실제로 외국인 개호 노동자의 일본 정착률은 높지 않다. 5년의 체류 기간 동안 돈을 벌고 고국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본에 남는다해도 개호 업무는 선호하지 않는다. 멍 씨는 “일본에서 일하고 싶은 생각은 있지만 개호 일을 계속할 지는 모르겠다”며 “언젠가 베트남에 돌아가면 일본에서 번 돈으로 장사를 할 계획”이라고 했다.

서로 다른 업무 문화에서 오는 갈등도 외국인 개호 노동자의 장기 근속을 막는다. 외국인 개호 전문가인 니몬지야 오사무 AHP네트웍스 이사는 “외국인 노동자는 10일 정도 휴가를 내서 고국에 다녀오고 싶어하지만, 일본 직장 문화는 장기 휴가를 허용하지 않는다”며 “고향에 다녀오지 못하는 타이트한 환경 역시 외국인 노동자의 불만 사항 중 하나”라고 했다.

일본 기피 직종 1순위 ‘개호’···‘외국인’으로 메운다

특정기능 업종을 소개하는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개호를 첫번째 업종으로 소개하고 있다.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캡쳐

일본 정부는 개호 인력 이탈을 막기 위해 개호 업종의 처우 개선을 꾀하고 있다. 처우 개선 수당을 마련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전국 개호 인력 급여를 일괄적으로 1만엔(약 9만원)가량 인상했다. 전국 개호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2만엔(약 18만원) 상품권을 지급하는 등 ‘갑톡튀’ 보너스도 지급했다.

처우 개선 나섰지만…기피 현상 막기엔 역부족

하지만 비정기적인 ‘찔끔’ 인상에 그쳤을 뿐 최근 일본의 물가 인상 폭을 따라잡기엔 역부족이다. 니몬지야 오사무 이사는 “물가가 올랐기 때문에 식비 등 개호 시설 운영비도 올랐다”며 “그렇다고 노인들에게 개호 서비스 이용료를 더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노동자의 처우 개선은 쉽지 않다”이라고 했다.

이렇다보니 일본인의 개호 업종에 대한 기피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펜데믹 국면에서 실직과 폐업이 늘자 일본 내 개호 업종에 대한 관심이 반짝 증가했지만 실제 인력 공급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현장 업무의 진입 장벽이 예상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10년차 일본 개호복지사(요양보호사) 박진혁씨(37·가명)는 “노동 강도에 비해 처우는 여전히 낮다”며 “일본 인력 공급이 이뤄지지 않다보니 외국 인력을 급하게 들여오고 있는 건데, 개호 인력 이탈을 막으려면 현실적인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사카 | 반기웅 일본 순회특파원 [email protected]

ⓒ경향신문(https://www.kha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기사

OTHER NEWS

2 hrs ago

벌써 14% 감원 테슬라… 해고 바람 끝이 아닌듯

2 hrs ago

“러, 한국이 레드라인 넘으면 북에 첨단 군사기술 제공할 것”

2 hrs ago

1박 2일 연정훈 나인우

2 hrs ago

“어? 차값 사기쳤나?” 조만간 하이브리드 차 가격 급등

2 hrs ago

[단독] SK그룹, 에코플랜트-머티리얼즈 합친다

2 hrs ago

한동훈 러닝메이트 3인… ‘사격 황제’ 진종오 합류

2 hrs ago

키스오프라이프 나띠,'상큼 미소'

2 hrs ago

EXID 정화,'미모 뽐내며 시구'

2 hrs ago

‘포기란 없다’ 맨유, 신성DF에 ‘2차 제안’ 준비 중

2 hrs ago

[단독] 7조 쏟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오락가락 기준에 4600억 세액공제 탈락

2 hrs ago

개미들 ‘국장 탈출’에… 올해 22조 순매수 외국인은 수익

2 hrs ago

꿈의 메모리 3D D램 개발경쟁 가속… SK하이닉스 "3D D램 수율 56.1%"

3 hrs ago

[속보] 조국, '출마 선언' 한동훈에 "尹정권 기획자, 과거 기준 자신에게도 적용해야"…'한동훈 특검법' 거듭 주장

3 hrs ago

신한은행 이어 KB도… 금리 年2%대 주담대 잇따라

3 hrs ago

홍콩 리스크 털어낸 은행주…외국인 쓸어담았다

3 hrs ago

거래소, '美 AI 탑10 기업' ETF 등 4종 25일 신규 상장

3 hrs ago

조윤희 "매일 악몽꿔"∙이동건 "빈자리 커" ..이혼예능이 가져올 파장 [Oh!쎈 포인트]

3 hrs ago

[사진] 지지자 환호 속 입장하는 한동훈

3 hrs ago

[STN포토]아쉽게 파로 홀아웃하는 이소영

3 hrs ago

'외인 최다 홈런 보인다' KT 로하스, 4시즌 연속 20홈런 폭발…역대 27번째

3 hrs ago

윤석열 정부, 우크라 무기지원 재검토하는데…우크라 남성은 매일 수십명 탈출

3 hrs ago

주담대 금리 3년 전 수준으로... 신한 이어 KB도 2%대

3 hrs ago

AI 스타트업 투자금 2025년엔 223조… 돈 몰린곳 프랑스 왜?

3 hrs ago

“너희만 차 만드냐? 우리도 만든다” ..1천만원 초반 베트남 전기차 등장, 중국車 ‘초긴장’

3 hrs ago

박현경·박지영, BC카드·한경컵 3R 공동선두…‘우승 놓고 정면승부’

3 hrs ago

키스오프라이프 나띠,'감탄 나오는 미모'

3 hrs ago

구광모, 10개월만 美 출장…AI·배터리 사업 '빅 스텝' 겨냥

3 hrs ago

“저러니 욕먹지” 화물차 운전자들, 또 무시하네

3 hrs ago

러 "우크라, 에이태큼스로 크림반도 공격…책임은 美에"(종합)

3 hrs ago

[오늘의 운세] 6월 24일 오늘의 띠별 운세

3 hrs ago

[스경X이슈] ‘류현진 vs 양현종’ 대신 ‘류현진 vs KIA 강타선’···광주 DH 1차전에 이목이 쏠린다

3 hrs ago

전기차 안 팔려도…배터리저장장치 시장은 뜨겁다

3 hrs ago

“엔화 환율도, 밸류업도 호재 아냐”…해외 투자자들, 일본 증시 ‘탈출 러시’

3 hrs ago

‘컴백 D-1’ 레드벨벳, 신비롭고 에스닉한 비주얼

3 hrs ago

엔비디아 꺾였다? 숨고르기 들어간 美 반도체주, 삼전·하이닉스도 영향 받을까

3 hrs ago

골프장 “공 칠 때마다 달려들어”… 대학 기숙사 “아침마다 사체 수백개”

3 hrs ago

구하라, 사망 전 비밀 계정에 "무섭다" 글…'버닝썬' 승리 사단 지인에 전화도

3 hrs ago

'NEW미우새' 뉴진스님, 돌연 터진 의혹에 당황.."원래 첩자?"

3 hrs ago

강철원 사육사 “푸바오 보고 싶어…마음으론 천 번도 보러 갔다” (뿌빠TV)

3 hrs ago

놀라워라 "벤탄쿠르, 이미 갈라타사라이와 이적 협상 시작했다"... '인종차별 비난' 싫어 토트넘 떠나나, 1달 뒤 '서울 방문' 불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