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줌마·여기요·사장님?…식당 호칭의 40년 역사

아줌마·여기요·사장님?…식당 호칭의 40년 역사

서울의 한 식당에서 직원이 접시를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아줌마·여기요·사장님?…식당 호칭의 40년 역사

로버트 파우저 | 언어학자

얼마 전 한 식당에서 점심을 먹을 때였다.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 손님들이 종업원을 부르는 소리를 듣게 되었다. ‘사장님’, ‘여기요’, ‘이모’ 등등 제각각이었다. 종업원을 부를 필요가 없긴 했지만, 혹시 부른다면 어떻게 불러야 할까 잠깐 생각했다.

1983년, 처음 한국어를 공부할 때 종업원은 ‘여보세요’라고 부른다고 배웠다. 전화받을 때와 똑같다는 게 신기했다. 교실 밖에서는 ‘여보세요’가 아니라 ‘아줌마’를 많이 쓴다는 걸 곧 알게됐다. 이후로는 일반적인 한국인들처럼 여성에게는 아줌마, 남성에게는 아저씨를 주로 사용했다. 여성들끼리는 종업원을 부를 때 ‘언니’라는 호칭을 자주 쓰지만, 남성들 사이에서 ‘형’이라는 말을 쓰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다.

2000년대로 진입하면서부터 아줌마라는 말은 어쩐지 쓰기가 거북했다. 아저씨는 그보다는 오래 쓰긴 했지만 빈도가 줄어들었다. 주류는 ‘여기요’였다. 내게 ‘여기요’는 어쩐지 갑질의 어감이 배어 있는 것 같아서 편하게 쓰기 어려웠다. 나만 그런 건 아니었는지 조금은 부드러운 어감처럼 느껴지는 ‘여기 주문이요’라는 말이 자주 들렸다. 하지만 갑질의 어감이 완전히 사라진 것 같지는 않았다.

오늘날 가장 많이 들리는 호칭은 ‘사장님’이다. 작은 식당들은 ‘사장님’이 혼자 주문도 받고 계산도 하니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규모가 있는 식당 종업원은 엄연히 사장님과 다른 일을 한다. 그럼에도 손님들은 종업원에게 사장님이라고 한다. 실제 사장이 아니라는 걸 손님도 알고 종업원도 안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은 아이엠에프(IMF) 경제 위기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소득과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서비스 업종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2010년대부터 에스엔에스(SNS)를 통한 정보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서비스 평가도 실시간으로 전파됐다. 개인 간에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는 ‘도시 문화’가 일상화하면서 언어 역시 이런 변화를 반영하게 됐다. 그러면서 종업원과 손님 사이에 존재하는, 이른바 ‘보이지 않는 선’을 넘는 호칭은 ‘촌스럽게’ 여겨지기 시작했고, ‘사장님’처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호칭을 더 편하게 여기는 이들이 늘어났다.

변화는 호칭에서만 드러나는 건 아니다. 20세기 말까지만 해도 서비스 현장에서 나이 많은 이들에게 반말을 쓰는 경우가 꽤 많았다. 무례한 태도가 아닌 친근함이 담긴 표현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사람들 사이에 거리를 두기 시작하면서 21세기에 접어든 언젠가부터 반말은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대신 ‘~요’로 끝나는 해요체와 반말을 섞어 쓰는 경우가 늘어났다. 서로 알고 지내는 사람들끼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한편 어느 정도의 친밀감을 표현하려는 의지를 반영한다. 단골 식당에서 종업원을 향해 ‘이모’라고 부르는 것 또한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겠다.

한국어 원어민이 아닌 내 입장에서는 식당에서 종업원을 부를 때마다 적당한 말을 찾기가 좀 어렵다. ‘사장님’은 지나치게 과한 존댓말처럼 여겨지고, ‘이모’를 사용할 용기까지는 없다. ‘아줌마’나 ‘아저씨’는 어쩐지 듣는 사람이 기분 나쁠 것 같고, ‘여기요’에는 갑질 같은 어감이 배어 있는 것처럼 느껴지곤 한다. 최근에는 눈을 맞춘 상태로 살짝 웃은 뒤에 ‘안녕하세요’하고 인사를 먼저 건넨 뒤 필요한 걸 말한다. 말하는 나도, 듣는 그들도 부자연스럽지만, 대부분 반갑게 받아준다.

흥미롭게도 종업원이 손님을 부르는 말도 달라졌다. 20세기 말 젊은 남성에게는 ‘학생’, 또는 ‘총각’이라고 불렀다. 오늘날 이런 호칭은 거의 사라졌다. 개인 자영업자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는 ‘손님’을 ‘손님’이라 부르고, 대기업 체인점에서는 ‘고객’을 ‘고객’이라 부른다. 내게는 어쩐지 조금은 삭막한 느낌이다.

과연 음식점에서 모두가 편안한 호칭은 뭘까. 어쩌면 한국의 종업원이나 손님들 모두 서로를 존중하되 서로가 편안한 호칭을 찾고 있는 건 아닐까. 지금 이때를 지나 서로가 편안한 호칭을 주고 받는 그런 날이 오면, 그때 수많은 음식점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뭐라고 부를까.

OTHER NEWS

41 minutes ago

배우 이병헌, `리니지M`에 떴다

41 minutes ago

다저스 날벼락…야마모토, 삼두근 부상으로 2이닝 만에 강판

41 minutes ago

이수만, 중국서 '미소년들 함께' 목격담…엔터계 복귀 시사?

41 minutes ago

이승엽 감독,'김기연 수고했다'

41 minutes ago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상속세율 30% 수준 인하 필요"

41 minutes ago

"100명 탔는데, 착륙장치 이상"…플라이두바이 여객기, 태국에 비상착륙

41 minutes ago

이민우, 母 치매·父 경도인지장애 진단에 오열 "상처 주지 말걸" ('살림남2')[종합]

41 minutes ago

'용산 식구' 합류한 투르크 국견 커플[통실호외]

41 minutes ago

'해저케이블 기술유출 의혹' 설계사무소 "기술유출 아니다…작년 LS전선과 합의"

41 minutes ago

에듀테크·늘봄학교 등 활용한 '사교육 없는 학교' 다음 달 첫선

41 minutes ago

"가마솥 들어간 개, 산 개가 보게 하다니"…끔찍한 도살현장 어떻길래?

44 minutes ago

강달러에도…세계 각국, 달러 줄이고 ‘이것’ 늘린다

44 minutes ago

성심당 대전역점 운영중단 위기...계량평가 '0점' 6차 입찰도 유찰

44 minutes ago

[사진] 서울대병원 현장간담회 참석하는 박주민·백혜련

44 minutes ago

선발 줄부상에 답답한 LG 염경엽 감독 "한 주에 불펜 데이 3번은 처음"

44 minutes ago

에어부산, '韓항공사 최초' 선박 연계 상품 개발 나서

44 minutes ago

전남도, '집단 휴진' 적극 대응…도내 응급의료기관 정상 운영

44 minutes ago

"숨겨진 친동생..." 이상민, 모친상 후 알게 된 충격적 가족사

45 minutes ago

4회 강판되는 곽빈

47 minutes ago

'5년 전 분양가' 이번에는 성남에서 '줍줍' 나온다, 3억 차익 기대

49 minutes ago

NCT 재현 '공항 밝히는 비주얼'

49 minutes ago

싱가포르 호화해변이 검은 색으로…무슨 일?

49 minutes ago

베니스 여신 송혜교, 수트부터 핫팬츠까지 모든 스타일 섭렵

49 minutes ago

장수군, ‘신라 춘송리 무덤군’ 전국 학계 발길 이어져

49 minutes ago

의협 “의대 증원 재논의 안하면 18일 휴진”…정부 비상대응체계 가동

52 minutes ago

[사진] 즐거툰 퇴촌토마토축제

52 minutes ago

“코스피 2800 간다”…이번주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하는 업종은?

52 minutes ago

한동훈이 쏘아올린 '헌법 84조'…李 대권가도 최대 리스크되나

52 minutes ago

[마켓인사이트]‘가스차, 제2의 전성기’ 전기차 보다 LPG차 주목 받는 이유

52 minutes ago

美 대법원 “‘트럼프는 너무 작아’ 상표 안 돼”

57 minutes ago

KIA,'KT 연이틀 제압'

57 minutes ago

몰라보게 예뻐진 이효리, 이사배 작품이었다 “달라 보이죠?”

57 minutes ago

한화생명금융서비스, GA업계 첫 500억 해외채권 발행

57 minutes ago

서학개미, 엔비디아 액면분할 이후 8500억 `폭풍매수`

1 hour ago

[사진] '토마토가 좋아요'

1 hour ago

尹대통령, 중앙아시아 3국 순방 마치고 귀국

1 hour ago

겁없이 유튜버 했다가…“완전 망했다” 폐업 속출

1 hour ago

찰스3세 생일 행사…왕세자빈, 암 투병 공개 후 첫 등장

1 hour ago

‘신저가 행진’ 네카오 산 개미 암울

1 hour ago

유재석, 어쩌다 아들 지갑까지 손댔나(런닝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