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中파트너 “BIMO선 ‘추가조치 불필요’ 등급만 받았다”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바이오리서치모니터링(BIMO)에서는 세 개 평가 항목에서 모두 ‘조치가 필요하지 않음’(No Action Indicated)을 뜻하는 NAI, NAI, NAI를 받았고, 화학·제조·품질관리실사(CMC)에서는 시설(facility) 이슈에서 마이너한 부분만 지적받았다.”

HLB(028300)의 파트너 중국 항서제약 부사장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간암 신약 심사와 CRL 서류에 대해 23일 입을 열었다. 앞서 진양곤 HLB 회장이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FDA 심사에서 CRL 서류를 받은 이유 중 하나는 항서제약이 생산·제조하는 캄렐리주맙의 CMC 이슈라고 설명했기에 시장의 관심은 항서제약의 입에 쏠렸다.

hlb 中파트너 “bimo선 ‘추가조치 불필요’ 등급만 받았다”

왼쪽부터 한용해 HLB CTO와 프랭크 지앙 항서제약 부사장, 엘레바의 정세호 대표와 장성훈 부사장이 23일 서울 송파구 잠실 소피텔 앰배서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나은경 기자)

◇中파트너사 등판…“CMC 전체 문제 아닌 시설 문제” 강조이날 오전 HLB 그룹이 서울 송파구 잠실 소피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제2회 HLB포럼을 연 가운데 HLB와 HLB의 미국 자회사 엘레바 임원, 항서제약 임원이 별도의 기자간담회를 통해 간암 신약 허가 현황에 대해 공유했다. 이 자리에는 HLB그룹의 한용해 최고기술책임자(CTO), 엘레바의 정세호 대표와 장성훈 부사장, HLB의 파트너사인 중국 항서제약의 프랭크 지앙 부사장이 참석해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에 대한 FDA 신약허가 심사에서 받은 CRL 서류가 메이저 이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반복해 강조했다.

지앙 부사장은 “BIMO에서는 임상스폰서(항서제약), 임상시험수탁회사(CRO) 아이큐비아, 임상사이트 총 세 곳을 평가항목으로 두는데 여기서 모두 NAI를 받았다”고 했고, 정세호 대표이사도 “121개 임상사이트 중에서는 임상환자가 가장 많았던 중국 하얼빈 한 곳에서만 BIMO를 했는데 나머지 사이트에 추가 실사도 필요하다고 해서 실사 종료를 하지 못했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용해 사장도 BIMO 이슈에 대해 “FDA가 추가 실사를 더 하지 못한 이유는 내·외부 요인이 다양할 수 있어 지금으로써는 파악할 수 없다”며 “FDA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임상사이트 방문을 해야된다고 생각하는지는 우리는 알 수가 없다. 그저 보수적으로 봤을 때 최악의 경우 그럴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던 것”이라고 했다.

특히 지앙 부사장은 “FDA가 지적한 것은 CMC (전체)가 아니라 시설(facility)”이라라고 강조했다. 앞서 CMC 실사에서 지적받은 시설 문제 외 새로운 문제를 CRL에서 지적한 것일 가능성에 대해서는 “실사 당시 놓친(missing) 파트가 있어 CRL을 준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고 이걸 이번 미팅에서 확인해보겠다”고 답했다. HLB와 항서제약은 CRL 레터에 구체적인 문제사항이 담겨있지 않고 ‘캄렐리주맙의 일부 미비한 점으로 병용요법으로 사용되는 리보세라닙의 승인을 보류한다’고만 쓰여있었다고 밝힌 만큼, 아직 FDA의 지적에 따라 보완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FDA의 지적이 CMC 전 공정에 대한 지적이 아니라 이의 일부분인 시설의 문제임을 강조한 것이다.

아울러 지앙 부사장은 “해당 지적이 마이너한 것”이라고도 했다. 이어진 부연설명에서 한용해 부사장은 “케미컬 의약품보다 (바이오의약품인 캄렐리주맙은) 프로세스가 길고 더 예민해 여기서 미흡한 것을 지적한 것이 아닌가 싶다”며 “CMC에서 받은 지적이 메이저한 게 아니라 마이너 이슈라고 보는 이유는 시설 지적으로, 건물 구조를 바꾸고 이런 내용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FDA 허가 17개 의약품 있는데 왜 이번엔 CRL 받았나HLB는 항서제약이 FDA의 허가를 받은 17개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시설 보완 과정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항서제약이 허가받은 17개 의약품은 모두 복제약(제네릭)이다. 반면 이번 신약허가 대상인 캄렐리주맙은 면역항암제로, PD-1(활성화된 T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을 차단하는 PD-1 항체 저해제다. HLB에 따르면 항서제약은 항체신약 개발 성공경험을 가진 회사를 인수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항체를 생산하고 있다.

ⓒ이데일리(https://www.edail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헤드라인 뉴스

[단독]진양곤 HLB 회장 “간암 세부적응증으로 글로벌 3상 추가 준비…연내 윤곽”

HLB 中파트너 “BIMO선 ‘추가조치 불필요’ 등급만 받았다”

애플이 90% 차지하는 '이 시장'…퀄컴·MS·삼성 연합팀 '도전장'

OTHER NEWS

29 minutes ago

순찰차 옆에 수상한(?) 비닐봉지 놓고 도망간 초등생 경찰이 수소문해 찾아낸 이유

29 minutes ago

테제베로 시작한 세계 4번째 'K-고속철'…수출 꿈 이뤘다

29 minutes ago

한미반도체, 1년간 500% 뛰었는데…증권가 “더 오른다”

36 minutes ago

황재균, 김상수, 김민혁 모두 제외...이강철 감독의 독한 선언 "고참, 주전 이런 거 없다" [수원 현장]

36 minutes ago

[사진] 서울대 병원과 간담회 마친 국회 보건복지위

36 minutes ago

윤 대통령, 중앙아시아 순방 마치고 오늘 새벽 귀국

36 minutes ago

랄랄, 인어가 된 예비엄마! 만삭이 코앞 왕자 남편과 ‘수중 만삭 화보’

36 minutes ago

‘기대 반 우려 반’ 분산에너지법 본격 시행…“기준 손질해야”

42 minutes ago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맞춰 `역동경제 로드맵` 나오나

43 minutes ago

의사들 집단휴진 강행에 중증응급질환 전국 단위 순환당직

43 minutes ago

처방전 발급하고 대신 처치하고...의료기관 `불법 의료행위` 만연

43 minutes ago

제2금융권 소상공인에 이자 최대 150만원 돌려준다

43 minutes ago

'선한 영향력 이것' 임영웅 생일 맞아 팬클럽 기부 행렬

43 minutes ago

회화와 조각이 올림픽 종목이었던 시절로 돌아간 듯…파리의 문화올림피아드

43 minutes ago

의협, `3대 요구안` 발표…"수용하면 18일 휴진 보류 투표"

43 minutes ago

[STN포토]김민별, 강력한 파워를 실어 보낸다

43 minutes ago

2루 훔치는 강승호

44 minutes ago

"휴가 떠나기 전에 준비하세요"…대박 할인 '돈 버는 여행'

44 minutes ago

연극 대모 故윤소정 오늘(16일) 7주기‥패혈증 투병 중 사망

44 minutes ago

대출받기 더 어려워진다…수천만 원 한도 깎이는 ‘2단계 스트레스DSR’ 실행

44 minutes ago

수지, 깨끗한 물광피부와 함께 단아한 슬리브리스 베스트룩 선보여

48 minutes ago

"의대증원 재논의, 사법처리 위협 중단"…의협이 요구한 3가지는?

48 minutes ago

韓 배터리·차·반도체, 커지는 美 노조 입김에 고민

48 minutes ago

위·아래 바뀐 6월 마운드 혁명···KIA도, LG도, 두산도 달리지 못한 이유

48 minutes ago

"브라질 응원 안 한다고? 경기 티켓 달라 했잖아"...'전설' 호나우지뉴의 비판에 콧방귀

48 minutes ago

개막 4경기 16골 · 16세 최연소 출전 · 24초만에 골...'유로 2024' 기록 쏟아져

48 minutes ago

‘엔비디아 밸류체인’ 비중이 34개 반도체 ETF 수익률 갈랐다

48 minutes ago

킬빌, 나루토, 철권, 엔시티의 공통점은?

48 minutes ago

‘휴진 반대’ 신경과 교수 “환자 죽는다면 무엇도 정당화되지 않는다”

48 minutes ago

고흥 무지개다리에 '용'이 있다?

55 minutes ago

에어부산, 항공·선박 연계 상품 내놓는다

55 minutes ago

서울의대비대위 "교수 529명 휴진 참여"…수술 가동률 절반될 듯

55 minutes ago

친한계 박상수 "최고위원 출마 안 한다…한동훈 출마 본인 몫"

55 minutes ago

‘650석 중 72석 예상’ 英 보수당 “선거에서 멸종할 수도 있다”

55 minutes ago

치솟는 연체율에… 저축은행, 상반기에만 부실채권 1조원 정리

55 minutes ago

박스권 갇힌 코스피 떠난다…ISA도 해외투자 쏠림

55 minutes ago

이재명, 이르면 이달 연임 여부 결정…사법리스크는 부담

55 minutes ago

국민의힘 "민주당 방통위법, '2인 체제' 합법성 자인"

55 minutes ago

다음 주 코스피 외국인 수급 이어질까

55 minutes ago

한화생명금융서비스, GA업계 첫 500억원 해외채권 발행